MCCB Changing construction ~ 1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239B63B54C9940F07)
♣ MCCB 란 ♣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 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3FC505921A9A02F)
MCCB란.. MOLD CASE CIRCUIT BREAKER 의 약어로 NFB(NO FUSE BREAKER)라고도 하며 저압 차단기가 되겠습니다.
90년대 초반만 하여도 차단기는 귀한? 제품이었고 주로 KNIFE S/W 하단에 통형 FUSE를 달아 사용했었습니다. 아직도 형편이 어려운 공장에 가보면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3EB845593DC7A706)
▲KNIFE S/W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614D46593DC8B33C)
▲KNIFE S/W와 MCCB의 조합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0A28355956D26C20)
▲KNIFE S/W와 MCCB의 조합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55873B5956D2A918)
▲KNIFE S/W와 MCCB의 조합(후면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21313A5956D2D928)
▲KNIFE S/W와 통형 FUSE 그리고 COVER KNIFE S/W
1980년대~1990년대 당시 형편을 감안하면 상당히 잘 꾸민 배전반입니다. 녹이 쓴 외함이 세월이 상당히 흘렀음을 보여 주네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204750593DC9E002)
▲MCCB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567EC48593DCC8C16)
▲MCCB
MCCB는 L/S산전 제품인 경우 최대 1200A까지 생산이 되며 MCCB는 수전설비 용량 500KVA급 이하에서 주로 사용 되고 그 이상에서는 ACB를 주로 사용 하는데요..
가능 하다면 MCCB가 ACB에 비해 고장이 없으므로 MCCB사용을 권합니다. 참고 하시길요..
(글 : 무 루)
|